파이썬 요점 정리 - 리스트 2

2022. 3. 9. 11:23파이썬

리스트 게시물에서는 리스트에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고 수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고,
이번 시간에는 리스트를 삭제하고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스트는 순서가 중요하기 때문에 인덱스 번호를 알아야하고,
이때, 인덱스 번호를 구하는 함수는 따로 있습니다. index() 함수인데요. 문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리스트이름.index(값) // 리스트에 포함되어있는 값의 위치 반환
리스트이름.index(값, 시작인덱스번호, 끝인덱스번호)  // 시작인덱스부터 끝인덱스 중 값의 위치 반환

리스트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스트 삭제하는 함수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del함수, remove함수입니다.

del함수는 리스트의 특정 요소번호를 지정해서 삭제할 때 사용되며,
remove함수는 특정 값을 삭제할 경우에 사용됩니다.

사용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del 리스트이름[인덱스번호]
리스트이름.remove(값)

리스트의 추가, 수정, 삭제가 가능하다면 이제 마지막 정렬까지 가능해야 할 것입니다.
리스트에는 여러건의 데이터가 저장되어있고, 그 과정에서 정렬 작업은 아주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정렬방법에 대해 잘 알아두셔야 합니다.

정렬에 사용되는 함수는 sort함수입니다.
sort함수는 기본적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줍니다.

사용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이름.sort()

하지만, 오름차순이 아닌 내림차순이 필요할때가 있겠죠? 이때 사용되는 함수가 있습니다.
reverse입니다. reverse는 list타입에서 제공하는 함수로 값을 반환하는게 아닌 순서를 뒤집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이름.sort(reverse=True)      # 내림차순
리스트이름.sort(reverse=False)     # 오름차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