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6일차

2022. 4. 29. 22:15리눅스

복습 과정

  1. 머신의 스냅샷을 이용해서 최초상태로 돌아감
    • 복원 전에 머신을 종료
  2. itit 계정 추가
    • adduser itit
  3. itit 계정에 비밀번호 설정
    • passwd itit
    • 비밀번호로 it123414 입력
  4. 랜카드 이름확인과 해당 랜카드가 꺼져있다는 것을 확인
    • ip addr
    • 꺼져있다면 켜야한다는 생각이 들어야 한다.
    • 랜카드를 켜야 뭐라도 할 수 있다.(랜카드가 꺼져있으면 인터넷이 안되고, 인터넷이 안되면 그 무엇도 하기 힘들다.)
  5. enp0se3 라는 이름의 랜카드를 켠다.
    • ifup enp0se3
  6. 랜카드가 켜졌는지 확인, ip도 확인
    • ip addr
      • IP : 10.0.2.15 확인
  7. 포트포워딩 하기
    • 이름 : SSHD
    • 프로토콜 : TCP
    • 호스트 IP : 0.0.0.0
    • 호스트 포트 : 2222
    • 게스트 IP : 10.0.2.15
      • 위에서 확인한 IP 입력
    • 게스트 포트 : 22
      • 보통 SSHD(putty, 즉 SSH 클라이언트와 대화하는 SSH 서버)는 리눅스 시작시 자동으로 켜져있다.
      • SSHD의 포트는 딱히 바꾸지 않는이상 22이다.
    • 포트포워딩을 하는 이유
      • 기본적으로 가상머신의 세계는 외부세계와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통신할 수 없다.
      • 그래서 호스트 OS(윈도우)에 특정포트를 정해서 그 포트로 가는 통신을 내부세계로 보내는 개구멍을 만든다.
  8. putty를 이용해서 itit 계정으로 접속한다.
    • 접속주소 : itit@127.0.0.1
    • 127.0.0.1 은 호스트 OS, 즉 윈도우를 말한다.
    • 여기서 이상할 것이다. 왜 게스트 OS IP인 10.0.2.15를 입력하지 않는것일까?
      • 위에서 말했든 개구멍을 통하지 않으면 바깥세상주민(여기선 putty)는 안쪽세상주민(여기선 sshd)과 이야기할 수 없다.
      • putty 입장에서는, 본인이 호스트 OS 에 설치되어 있고, 개구멍도 호스트 OS에 있으니, 그냥 127.0.0.1 이라고 쓰면 된다.
    • 접속포트 : 2222
  9. root 로 로그인 한다.
    • su root
      • itit 계정은 이후에 진행할 네트워크 작업을 할 권한이 없다.
    • locate 명령으로 enp0s3 랜카드 관련 설정파일의 위치를 검색한다.
      • locate enp0se3
        • 안되면 updatedb 명령을 한번 입력 후 다시 시도 한다.
  10. enp0s3 랜카드 설정 변경
    • vim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
      • ONBOOT=no 에서 ONBOOT=yes 로 수정
      • 수정을 다 했다면, ESC 키 누름, :wq! 입력 후 엔터를 눌러서 저장과 함께 vim 종료
  11. enp0s3 설정파일의 변경사항을 바로 적용
    • systemctl restart network
    • 보통 설정파일을 바꿔도 그 바뀐 내용이 즉시적용되지는 않는다.
  12. 작업이 잘 되었는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해 준다.
    • systemctl status network
      • active 라는 녹색문구를 확인

DHCP 개념

인터넷은 와이파이가 와이파이를 공유하는 공유기다?
공유기가 정해준 ip를 갤럭시s가 가져야함

갤럭시S

  • 커피숍 와이파이
    • ↑를 쓰면 ip가 바뀜
  • 친구집 와이파이
    • ↑를 쓰면 ip가 바뀜
  • 집 와이파이
    • ↑를 쓰면 ip가 바뀜

위처럼 ip가 바뀌는 이유는 갤럭시s는 수동ip모드가 아닌 자동ip모드로 되어있기 때문
우리 폰들은 ip가 고정으로 박혀있지 않다
그래서 유연하게 어떤 wifi로 바꿔도 ip가 자동으로 바뀜

 

DHCP: 공유기가 pc, 폰의 적절한 ip를 자동으로 정해주는 방식

putty에서 CentOs7이 dhcp 방식인지 확인하는 방법

  1. locate enp0s3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
    • BOOTPROTO=dhcp로 되어있음
    • 파일내용 보면 특정ip가 안적혀있다.
      • ip가 자동으로 할당되는 것

서브넷 마스크

ip 대역을 나누는 단위
- 보통 ip랑 한 쌍

ex) 10.0.2.15/24
- /24 : bit가 24개 있다
- 총 32비트인데, 그 중 24개가 1이다
- 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0
- 환산하면 255.255.255.0
- 1이 적을수록 대역을 좁게 나누고, 1이 많을수록 대역을 크게 넣는다

디폴트 게이트웨이

ip route

  • 게이트웨이 ip 확인
  • default via ip
    공유기 (와이파이) 입장에서 빠져나갈 통로가 필요한데
    이것이 와이파이를 관리하는 상위자

dns 서버 개념

처갓집 양념통닭 → 042-xxx-xxxx

  • 주문 시 주문을 해야하는데, 가게이름만 안다고 전화번호를 못건다. (알지 못해서)

www.naver.com → ~~~

  • 네이버에 접속하면 자동으로 ip랑 연결됐다는 건,
    누군가가 전화번호를 알고있다는 것.
  • kt에서 관리하는 서버 (전화번호부)
  1. 162.126.63.1
  2. 162.126.63.2
    우리 컴퓨터에도 등록해야 www.naver.com의 ip가 뭔지 저 2개의 서버에다 확인해볼 수 있음
  • 구글
  1. 8.8.8.8
  2. 8.8.8.4

dns 적을 때는 kt나 구글에서 지원하는 서버ip 적으면 된다.

dhcp 끈 후, IP를 수동으로 지정

고정IP 설정 방법

  • 1단계 : ip addr 명령을 통해서 IP와 서브넷마스크 확인
    • 서브넷마스크
      • ~~/24 => 255.255.255.0
      • ~~/8 => 255.0.0.0
  • 2단계 : ip route 명령을 통해서 게이트웨이 IP 확인
  • 3단계 : 설정파일 수정, sudo vim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p0s3 (안되면 sudo 빼고)
    • BOOTPROTO=static # dhcp 에서 static 으로 수정
    • IPADDR=10.0.2.16 # 제한적으로 변경가능, 파일의 최하단 부분에 추가
    • GATEWAY=10.0.2.2 # 정해짐, 파일의 최하단 부분에 추가
    • NETMASK=255.255.255.0 # 정해짐, 파일의 최하단 부분에 추가
    • DNS1=8.8.8.8 # 제한적으로 변경가능, 파일의 최하단 부분에 추가
    • DNS2=8.8.4.4 # 제한적으로 변경가능, 파일의 최하단 부분에 추가
    • ESC키, :wq! 엔터키
  • 4단계 : 네트워크 설정 변경 후 적용
    • sudo systemctl restart network 명령 수행 (안되면 sudo 빼고)
    • 이 단계에서 putty가 멈춰짐, 포트포워딩에서 ip변경해줘야 함
  • 5단계 :
    • 포트포워딩(아래 정보처럼 변경, 게스트 IP만 변경하면 됨)
      • 이름 : SSHD
      • 프로토콜 : TCP
      • 호스트 IP : 0.0.0.0
      • 호스트 포트 : 2222
      • 게스트 IP : 10.0.2.16
      • 게스트 포트 : 22

스냅샷 찍기

스냅샷명 : '10.0.2.16으로 변경'

728x90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8일차  (0) 2022.05.04
리눅스 7일차  (0) 2022.05.02
리눅스 5일차  (0) 2022.04.27
리눅스 4일차  (0) 2022.04.20
리눅스 3일차  (0) 2022.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