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요점 정리 - 리스트
리스트란 여러개의 데이터를 한꺼번에 저장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리스트 뽑아서 정리해봐라고 말하듯이 파이썬 리스트도 비슷한 의미 입니다.
여러개의 데이터를 하나의 목록에 저장할 때, 여러건의 데이터는 대부분의 유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즉, 우리가 배운 정수, 실수, 문자 등 한꺼번에 하나의 리스트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리스트의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이름 = [1번요소, 2번요소 ---]
# 사용예시
리스트이름 = [2,3,1,2]
이때 리스트의 인덱스 번호는 1번이 아닌 0번부터 시작하게 됩니다.
꼭 기억해 두셔야 됩니다. 아주아주 중요해요!!!
리스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여러 개의 데이터를 쉽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합니다.
리스트에 한 번에 추가하는 방법 말고, 새로운 데이터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1번째는 append()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 2번째는 insert() 함수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스트이름.append(입력할 값) # 무조건 리스트 맨뒤에 추가
리스트이름.insert(인덱스번호, 입력할값)
# 작성한 인덱스번호에 값이 추가
위처럼 append() 함수를 사용하면 리스트의 가장 마지막에 추가가 되고, insert() 함수를 사용하면
추가하고 싶은 인덱스번호 위치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리스트안에 있는 요소를 출력하려고 할 때 우리는 리스트의 길이를 구할 수 있어야 했습니다.
리스트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는 len() 함수이며, 사용 문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len(리스트이름) => 리스트의길이
다만 반복문을 이용해 리스트 전체 요소를 출력하고자 할때 리스트의 길이보다 -1해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주세요!!
인덱스 번호는 아까도 말씀드렸듯이 0부터 시작하기에 꼭 하나 빼주셔야 합니다.